1. https://github.com/ 접속해서 회원가입

2. 회원가입 후 로그인 -> 좌측 New 눌러서 Repository 만들기

(Public 또는 Private 선택 후 Create repository)

 

<Eclipse 사용이 아닐 경우>

3. https://git-scm.com/downloads 접속해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다운로드 (기본 설정으로 계속 Next 눌러서 설치해도 됨)

4. 설치가 끝났다면 Git Bash 검색 후 실행

5. 환경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Seungyub Lee" (본인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champcom90@gmail.com" (https://github.com/ 가입한 메일 주소)

git config --list (user.name과 user.email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

 

<Eclipse 사용하는 경우>

Push 과정

remote repository 생성
remote repository에 Push할 프로젝트
Perspective Git을 선택해 Git 모드로
Push할 프로젝트 선택(local repository 생성)
local repository 확인(.git이며 숨김 상태로 생성)
server repository와 연결 작업 시작
Push할 server repository 경로 복사
GitHub계정
GitHub 계정을 바로 만든 게 아니라면 이런 오류 메세지가 나타날 수 있다.
기한의 제한을 없앴다
Eclipse에서 pw 대신 사용할 토큰으로 메모해두자
Push된 파일 확인
Git Bash 사용한 한글 깨짐 방지
GitHub는 리눅스 기반이므로 Workspace의 encoding형식을 UTF-8로 바꾸자
히스토리 보는 방법

 

Push 과정

 

코드를 그냥 가져오는 게 아니라 공동 작업 목적으로 가져오는 거라면 해당 server repository를 만든 사람이 이 과정을 통해 공동 작업을 허용해줘야 한다.
Git Repositories에 정상적으로 Pull됐는지 확인
local repository로 받아온 프로젝트를 확인하기 위해 Package Explorer에서 프로젝트 생성

+ Recent posts